중정당
강당으로서 흰띄를 두르고 있다는 것이 특이했는데 서원의 으뜸이라는 표시라 한다.
그리고 아래쪽의 돌들의 색과 배치가 정말 아름답다. 정말 꼭 맞게 끼워져있으면서도 모양이 모두 다르니...휴..

중정당 내부
특별한 것은 없지만 흰 한지로 계속 바르는 것이 전통인가 보다.

정동..아니 정서방향이려나 ㅡㅡ?

기단의 용머리
4개가 있는데 그 중 3개를 도난당해 한개만이 진짜고 나머지는 가짜라 한다. ㅡㅡㅋ 워....
어쩐지 색이 좀 다른데 싶었지만 기단부의 돌도 색이 다 달라서 그런가 보다..했는데....
3개가 색과 모양이 똑같으니 아마도 진짜는 그 나머지 하나겠지...이 사진의 녀석은 아니다. ㄷㄷ
그런데 복원할 때 색 좀 맞추지 왜 안 맞췄는지 원...(모양도 좀 다르다.)

뒤 쪽도 아름답다. ㅎㅎ




거인재
군자는 생활에 편안함을 찾아서는 안 된다(君子, 食無求飽, 居無求安)는
공자의 말씀에 따라, 선비들은 불편한 생활을 기꺼이 받아 들였다.
좁고 답답한 방이 불편하기보다는 오히려 학문을 익히는데 훨씬 낫다고 생각하였다.
거의재 반대편의 유생의 기숙사..뒤로 전사청이 살짝 보인다.

강당으로서 흰띄를 두르고 있다는 것이 특이했는데 서원의 으뜸이라는 표시라 한다.
그리고 아래쪽의 돌들의 색과 배치가 정말 아름답다. 정말 꼭 맞게 끼워져있으면서도 모양이 모두 다르니...휴..

중정당 내부
특별한 것은 없지만 흰 한지로 계속 바르는 것이 전통인가 보다.

정동..아니 정서방향이려나 ㅡㅡ?

기단의 용머리
4개가 있는데 그 중 3개를 도난당해 한개만이 진짜고 나머지는 가짜라 한다. ㅡㅡㅋ 워....
어쩐지 색이 좀 다른데 싶었지만 기단부의 돌도 색이 다 달라서 그런가 보다..했는데....
3개가 색과 모양이 똑같으니 아마도 진짜는 그 나머지 하나겠지...이 사진의 녀석은 아니다. ㄷㄷ
그런데 복원할 때 색 좀 맞추지 왜 안 맞췄는지 원...(모양도 좀 다르다.)

뒤 쪽도 아름답다. ㅎㅎ




거인재
군자는 생활에 편안함을 찾아서는 안 된다(君子, 食無求飽, 居無求安)는
공자의 말씀에 따라, 선비들은 불편한 생활을 기꺼이 받아 들였다.
좁고 답답한 방이 불편하기보다는 오히려 학문을 익히는데 훨씬 낫다고 생각하였다.
거의재 반대편의 유생의 기숙사..뒤로 전사청이 살짝 보인다.

덧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