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월암
대한불교조계종 제2교구 본사인 용주사의 말사이다. 신라 문무왕대(661~680)에 의상대사(義湘大師)가 창건한 절로
북악사(北岳寺)라고 했다. 고려말에 나옹화상(懶翁和尙)이 중건했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된 뒤 명맥만 유지해오다가
1774년(영조 50) 영월대사(映月大師)가 중창하고 영월암이라고 했다. 1911년 보은(普恩)이 중수한 뒤 1920년에는 극락전을
1937년에는 산신각을, 1941년에는 대웅전을 중건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현존 당우로는 대웅전·동별당·요사채 등이 있고
중요문화재로는 영월암마애불입상(보물 제822호)이 있다. 그밖에 〈법화경〉 50권과 석불좌상·3층석탑 등이 있다.
-브리테니커에서 발췌-
이천 설봉 호수 뒤편의 설봉산을 오르면 있는 영월암...나무는 은행나무 보호수로 수령이 640년으로 추정된다는데
나옹대사가 식수하였다는 전설이 있다고 한다.

아마도....나무아미타불?

대웅전..절간으로만 보면 특별히 큰 절은 아니었다.

옆쪽으로 살짝 보이는 삼성각...

앞쪽의 트럼펫꽃들....작게만 생각해 왔던 자연물이 커지면 징그러운게.....ㄷㄷ


역시 가을엔 국화....인데 겨울인 우리집에는 아직도 국화가 잘 살아있는게 역시 강하긴 강한.....

백일홍은 안에 또 꽃이 있다는게 언제봐도 특이하다.



대한불교조계종 제2교구 본사인 용주사의 말사이다. 신라 문무왕대(661~680)에 의상대사(義湘大師)가 창건한 절로
북악사(北岳寺)라고 했다. 고려말에 나옹화상(懶翁和尙)이 중건했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된 뒤 명맥만 유지해오다가
1774년(영조 50) 영월대사(映月大師)가 중창하고 영월암이라고 했다. 1911년 보은(普恩)이 중수한 뒤 1920년에는 극락전을
1937년에는 산신각을, 1941년에는 대웅전을 중건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현존 당우로는 대웅전·동별당·요사채 등이 있고
중요문화재로는 영월암마애불입상(보물 제822호)이 있다. 그밖에 〈법화경〉 50권과 석불좌상·3층석탑 등이 있다.
-브리테니커에서 발췌-
이천 설봉 호수 뒤편의 설봉산을 오르면 있는 영월암...나무는 은행나무 보호수로 수령이 640년으로 추정된다는데
나옹대사가 식수하였다는 전설이 있다고 한다.

아마도....나무아미타불?

대웅전..절간으로만 보면 특별히 큰 절은 아니었다.

옆쪽으로 살짝 보이는 삼성각...

앞쪽의 트럼펫꽃들....작게만 생각해 왔던 자연물이 커지면 징그러운게.....ㄷㄷ


역시 가을엔 국화....인데 겨울인 우리집에는 아직도 국화가 잘 살아있는게 역시 강하긴 강한.....

백일홍은 안에 또 꽃이 있다는게 언제봐도 특이하다.



덧글
그나저나 저 이제야 트랙킹 갔다왔습니다; 한라산으로요;
아웅 힘들었어요 ㅠ_ㅠ 무릎이 아직도 ㅠ_ㅠ 그래도 멋졌지만요
저도 격하게 다녀오면 파스와 함께 ㅡㅡ;;;; ㄷㄷ
꽃들이너무예뻐요
꽃만따로오려서 로고만들려고왔어요~ 상업적이지않아요 - 개인블로그로그
잘쓸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