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원사에 출발해 드디어 사자암에 도착~

중대 사자암
조선 태종 1400년 11월 중창되었으며 이후 왕실의 내원당內願堂으로
명종 대에 승영僧營사찰로 보호되기 시작하였고 1644년부터 1646년
사이에 중수되었다.
이후에는 왕실보호로 사세寺勢를 유지하고 건물을 보수해 나갔으며
1878(고종 15년)년 재건되어 요사채로 사용되던 향각香閣이 낡고 헐어
1999년 퇴우 정념스님께서 제불 보살님께 발원하고 오대五臺를
상징하는 오층으로 향각을 신축하여 2006년 8월에 완공하였다.
중대 사자암의 법당인 비로전毘盧殿은 화엄경의 주불이신
비로자나부처님을 모셨으며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을 협시로 조성했다.
비로전 내 벽체 사방의 8면에 각각 다섯 사자좌의 문수보살을 중심으로
상계上界에 500문수보살상과 하계下界에 500문수동자상 세계가 펼쳐져
있다. 세계최초로 조성된 양각으로 새긴 극락보수 삼존불상 후불탱화의
장엄함은 보는 이로 하여금 절로 외경심을 느끼게 한다,
-월정사 홈페이지에서 발췌-
등산객은 비로자나불이 모셔져 있는 비로전쪽만 둘러볼 수 있었습니다.

망중한의 스님들도 한 컷~

비로자나불과 문수보살, 보현보살님

현판과 함께~

이제 적멸보궁으로~

올라가면서도 참 좋던~

단풍단풍~

적멸보궁 계단길~ 예전에도 이랬었나 가물가물한데 많이 꾸며졌네요.

꼭대기에 위치한 적멸보궁
우리나라에는 다섯 군데의 적멸보궁이 있다. 오대산 적멸보궁은 신라시대
자장율사가 중국 오대산에서 기도하던 가운데 지혜의 상징인 문수보살을
친견하고 얻은 석가모니 진신 사리를 봉안한 불교의 성지이다.
중대에 위치한 적멸보궁은 오대산 비로봉에서 흘러내린 산맥들이 주위에
병풍처럼 둘러싸인 중앙에 우뚝 솟아있다. 적멸보궁이 자리한 곳은
용이 여의주를 희롱하는 형국이라 하여 용의 머리에 해당된다. 조선시대
암행어사 박문수가 이곳을 방문하고 천하의 명당이라고 감탄했던
곳이기도 하다. 이곳 중대는 또한 오대산 오만보살신앙의 중심을
이루고 있으니 곧 동대의 일만의 관음보살, 남대의 일만의 지장보살
서대의 일만의 대세지보살, 북대의 오백 나한들이 중대 적멸보궁의
불사리를 법신불로 상정하여 예배 공양하고 있다.
법당은 정면 3칸, 측면 2칸이며 불사리를 모신 곳이라 불상이 안치되어
있지 않고 불단만 조성되어 있다. 전면 중앙 문에만 두 짝 판장문을
달았고 좌우 칸에는 중방을 설치하여 상부에는 띠살의 하개교창을
달았으며 하부는 판장벽으로 되어있다.
지방 유형문화재 제28호
-월정사 홈페이지에서 발췌-

뒤쪽에 뭔가 있어 돌아가보니~

마애불탑
적멸보궁 바로 뒤에 84센티미터 높이의 개석을 갖춘 비석 모양의
마애불탑이 세워져 있다. 앞면에는 단층기단위에 세워진 5층의 목탑이
상륜부까지 양각되어 있다.
-월정사 홈페이지에서 발췌-
탑이 멋지게 새겨져있고 뜻이 있어 그런지 바깥에도 기도하는 자리가
마련되어 있더군요.

적멸보궁 안도~ 진신사리가 모셔져 있기 때문에 불상은 없다고 합니다.

문도 상당히 멋지게 그려져 있고 좋았네요. 이제 비로봉을 향해 출발~

덧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