엠마 스톤과 레이첼 와이즈의 연기 대결이 기대되었던 작품인데 여왕님이
제일 대단했던 더 페이버릿이네요. 올리비아 콜맨은 다른 작품에서도
좋았지만 히스테릭한 롤러코스터를 평범하지 않게 타는게 와....
아무래도 우리가 보기엔 박근혜와 최순실이 생각나는 지점이 있긴 하지만
정말 마음에 드는 촌극이었습니다. 물론 다 좋은건 아니지만 정점의
권력자로서 외부와 차단된 왕궁이라니~ 나름의 정치극도 추가되어 있고
좁은 왕궁을 광각으로 찍어낸 시각적인 재미까지 요르고스 란티모스의
연출작으로서는 꽤나 대중적이라 누구에게나 추천드릴만한 작품입니다.
더 랍스터에 이어 킬링 디어, 이 작품까지 점점 마음에 드네요. ㅎㅎ
다만 기존 팬이라면 아쉬울수도~
꼭 여왕이 아니라도 권력자의 어쩔 수 없는 고독에 대한 이야기라 좋네요.
이하부터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앤 여왕의 토끼 스토리는 참....하지만 사라(레이첼 와이즈) 자신의 대의를
우선시하는 냉철한 여인이라 츤얀데레타입으로 앤을 휘두르는게 ㅜㅜ
그러다보니 어쩔 수 없이 다정다감한 애비게일(엠마 스톤)에게 푹 빠져서
헤어나오지 못하는게 안타깝더군요. 특히 마지막으로 가면서 좀... 너무나
통속적으로 끝내버려 감독의 이름값에는 아쉽긴 하지만 그 전까지
설명해주지 않고 롤러코스터를 오가며 울부짖는 여왕이라니 이정도로
여왕이자 여인의 속성을 대놓고 처절하게 찍어낸 감독이 있었는지~~
다만 정사를 포기하다시피하고 무능한 여왕을 그려냈기에 불편할 수도;;
뭐 왕들이야 그렇게 그려진게 넘치지만 여왕을 이렇게 묘사한건 어쩌면
유명감독이기에 가능한 용감한 일이라고 봅니다. 한국에서 이러면 ㄷㄷ

자신의 남편도 걸고 백성들도 걸고 자신의 이념에 모든걸 던지는 사라는
결국은 사적인 면에서 애비게일에게 지고 맙니다. 그래도 혹시나 뭔가
꿍꿍이가 있지 않았을까 했는데 정말 우국충정의 충신이었다니 누님 ㅜㅜ
챕터의 대사도 그렇고 정말 멋있게 나왔지만 여인, 사람의 마음까지는
헤아리지 못했네요. 철인의 한계라면 한계지만......

애비게일의 계급상승 스토리는 정말 웃프고 엠마 스톤이 제대로 표현해
좋았지만 마지막이 너무...안타까웠네요. 이렇게 망가진걸로 끝내는건...
영특했던 애비게일인데 그렇게 쉽게 흐트러지는건 흐음...사라가 쉽지만
깨끗하게 퇴장한 것에 비해 앤과 애비게일 모두 망가지며 끝나기 때문에
한단계 너머를 기대했던 것에 비해서는 아쉬웠습니다. 대중적이지만
너무 통속적인 궁중비사라...

니콜라스 홀트와 제임스 스미스가 양당 당수를 맡았는데 분량은 적지만
여성들에게 매달릴 수 밖에 없는 정치적 입지도 웃펐고 그러다보니
가감없이 성에 상관없이 대등하거나 막대하는 모습으로 그려져 좋았네요.
이용만 당한 마샴 역의 조 알윈의 핸드잡은 처절할 정도 ㅜㅜ 숲에서
두들겨 맞는 것도 그렇고 여성만 아니라 남성도 참혹하게 그대로 그려내
감독답긴 감독다웠습니다. 그러다보니 애비게일의 끝이 더 아쉬운 ㅠㅠ

덧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