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삼가헌의 너른 마루 사랑채 by 타누키



달성 삼가헌, 중요민속문화재 제104호
달성군 하비면 묘리 묘골마을은 사육신의 한 사람인 충정공 박팽년의
후손들이 모여 사는 순천 박씨 집성촌이다. 삼가헌은 묘골마을과 낮은 산
하나를 경계로 하고 있는 파회마을에 자리 잡은 조선시대의 주택이다.

삼가헌이라는 이름은 박팽년의 11대손인 성수가 1769년에 이곳에 초가를
짓고 자신의 호를 따서 삼가헌이라 한 것에서 유래한다. 그 뒤 그의 아들
광석이 1783년에 이웃 묘골마을에서 이곳으로 분가하였고, 1826년에
초가를 헐고 안채와 사랑채를 지었다.

별당채인 하엽정은 광석의 손자인 규현이 1874년에 원래 있던 파산서당을
약간 앞으로 옮기고 누마루를 달아 현재의 모습으로 다시 지은 것이다.
또한 안채와 사랑채를 지을 때 흙을 파낸 자리에는 연을 심어 연당으로
가꾸었는데, 하엽정이라는 이름이 여기에서 유래한다.

이 집이 삼가헌이라 불리게 된 이유는 사랑채에 걸려있는 기문에 적혀있다.
즉 삼가란 중용 9장에 나오는 선비로서 갖추어야할 덕목을 말하는데
천하와 국가를 다스릴 수 있고, 벼슬과 녹봉을 사양할 수 있고, 날카로운
칼날을 밟을 수 있다라는 뜻이다.

삼가헌은 전체적으로 조선 후기 영남 내륙 지방 양반가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주택이다. 넓은 대지에 안채와 사랑채, 아름다운
정원이 있는 별단채, 그 외 여러 부속채로 구성된 배치 형식은 사대부
가옥의 공간 구성과 생활상을 이해하는데 좋은 자료가 된다.
-안내문에서 발췌-

육신사 동네처럼 실제 주민이 거주하고 계셔서 양해를 구하고 안으로
들어가봤습니다. 안채쪽이 실거주 지역으로 일보시는 듯한 사랑채까지만
보여서 그래도 괜찮더군요.



사랑채
몸채는 전면 5칸, 측면 4칸이고 뒤쪽으로 2칸의 날개채가 있는 ㄴ자형
건물이다. 사랑대청에서 안채쪽으로 꺾어져 돌출된 한 칸의 마루와 붙은
방은 작은사랑으로 쓰이는데, 책들을 보관하거나 필요에 따라서는 상청을
차리기도 한다. 대들보 밑에는 삼가헌이라는 당호가 적힌 현판이 작은
사랑으로 들어가는 문 위에는 예의염치효제충신이라고 쓰인 글이 걸려있다.
-안내문에서 발췌-

남쪽지방이라 그런지 한옥인데 파초가 있는 풍경이 독특하게 다가옵니다.




넓은 마루가 시원한~



후예도 서예로 유명하신 분이 계시다는데 그래서 그런지 사방의 글씨들이
멋드러집니다. ㅎㅎ



뒷방쪽 마루는 분리도 가능해서 구조가 특이하고 마음에 드네요.




서재부터 연결된 시원~하니 넓다란 마루가 진짜 부러운~ ㅎㅎ



현판 무늬도 약간 다른~



하엽정으로 넘어가며 한 컷~



담을 작은 문으로 넘어가면 되는데 아직도 인동이 담쟁이처럼 피고 있던~




덧글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


구글검색


www 내 블로그 검색

사이드1

사이드1.5

2019 대표이글루_음식

2018 대표이글루_photo

예스24

통계 위젯 (화이트)

389523
2914
5595197

이 이글루를 링크한 사람 (화이트)

205

메모장 드래그금지버전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anngabriel.egloos.com의 저작물인 이 저작물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라이선스의 범위 이외의 이용허락을 얻기 위해서는 anngabriel.egloos.com을 참조하십시오. Locations of visitors to this page

사이드3

구글아날

구글아날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