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제는 The Blind Man Who Did Not Want to See Titanic으로
조금 다른데 타이타닉을 보고 싶지 않았던 남자가 낫지 않았을지~
는 차치하고 무슨 영화인가~ 싶었는데 시각이자 지체 장애인인
주인공이 도와주는 사람 없이 멀리 여자친구를 찾아가는 내용으로
짧지만 강렬한 작품이었네요.
시각 장애를 표현하는 듯한 연출도 좋았고 한국도 이동권에 대한
시위를 하는 와중이라 한번 추천할만한 핀란드 영화라 봅니다.
이하부터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야코 역의 페트리 포이콜라이넨
점자나 문자를 읽어주는 기계음 등은 많이 쓰였었지만 아예 주인공만
핀트를 잡고 다 날리는걸 고수하는건 뚝심이 대단했네요. 시각 장애를
좀 더 체험적으로 표현되는 것 같아 좋았습니다.
그래도 1000km지만 보호자가 없이 갈 수도 있는 시스템이라 좋았네요.
다만 환승 사이사이의 빈틈을 미스터 스콜피온스(사물리 야스키오)와
톱밥제조기(라미 루시넨)가 노리면서 장애인 범죄로 이어지는게 참...

영화 덕후이자 유쾌한 타입이라 끊임없이 돌파구를 찾는게 대단했지만
전화기 찾을 때는 정말 계단 밑으로 떨어질까봐 너무 무서웠네요.
래쉬 싫다더니 래쉬까지 부르고 참... 그나마 좋은 사람을 만나서
시르파(마리아나 마야라)의 집까지 찾아가는 해피엔딩이라 좋았습니다.
결국 타이타닉 DVD도 꺼내고~ 보고 싶지 않았던 작품이지만 시르파와는
보고 싶은 영화가 되었으니 다행인데 한국 제목도 그렇고 맨날 날리던
토토(?)도 따는 등 운수 좋은 날 느낌이 너무 나서 불안했었네요. ㅎㅎ

우리도 예전보단 많이 좋아지고 있고 전동 휠체어가 나오면서 그래도
전보다는 좀 더 장애인을 접할 수 있게 되었다고 볼 수도 있는데
그럼에도 인구에 비해 장애인이 일반 사회 공간에서 활동하는 비율은
아직 멀었다고 보는지라... 출근시간에 시위하는 걸로 욕을 많이 먹지만
그만큼 기본적인 지하철 등에서 문제가 많다보니 이해는 갑니다.
특히 고장이니 쉽게 계단을 이용하라던가 장애인용 우선이어야 하는데
장애인이 후순위로 밀린다는 문제들도 있는데 서울역에서 캐리어를
가지고 다니며 엘레베이터 동선이 나오나 한번 해봤는데 고장난 곳에서
써져있는 전화번호로 문의를 했더니 관할이 아니라고 한다던가
길을 모르는게 참 웃기더군요. 캐리어니 결국 계단으로 이동했는데
휠체어의 경우는 답이 없었을테니...
CGV 명동역 씨네라이브러리의 1층 엘레베이터 공지도 마찬가지인데
당당하게 계단을 이용하라고 써져 있습니다. 물론 내부 엘레베이터를
이용해서 내려갈 수 있는 것 같은데 모르는 관객의 경우에는 문의를
해보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없어 보이는 안내입니다. CGV의 경우
지점 전화가 공개되지 않기 때문에 고객센터를 통하면 얼마나 걸려야
연결될지 알 수 없는 일이죠.
게다가 그럼 내부 엘레베이터는 가능한가하고 한번 해봤는데
10층에서 안서더군요. 그래서 직원에게 문의하니 그럼 계단을 이용해야
10층으로 갈 수 있다는 말만 하는게 웃펐습니다. 물론 나중에는
아마 다시 고쳤을테지만 전혀 이런 마인드가 없는 것도 흥미로웠습니다.

물론 여기만이 아니라 용산역의 주차장도 층 사이사이에 빼곡하게
주차층을 만들어 자리가 많이 나오는 대신 계단 때문에 특정 층을
통해서만 휠체어는 접근할 수 있는 길이 나오기도 하는데 이것도
여러번 문의를 해야만 제대로 들을 수 있었습니다. 그것도 발로 뛰어서
좀 더 빨리 경로를 알아냈지 여러 통로가 있는 상황이었던지라...
아침 일찍에는 아예 문을 열지 않아 계단 밖에 없었던 통로도 있고...
어디 어려운 곳이 아니라 나름 그래도 최근(?)에 지어진 건물도 있고
서울의 큰 곳들이라 볼 수 있는 장소들도 이러하니 장애인의 이동은
보호자가 있다 하더라도 쉽지 않은 일이라 안타까울 때가 많다보니
더 와닿는 영화였네요.
특히 장애인 택시를 휠체어 채로 타고 운전하는 기분을 내는건 참으로
좋았는데 친구가 가족이 아팠을 때 장애인 택시 잡기와 이용 제한이
힘들어서 이야기했던 것도 생각났네요. 물론 이 영화에서도 갑작스런
요청에는 동반인을 배정하지 못하기도... 게다가 미안해요, 리키를 봐도
잘 모르는 다른 나라의 사회 시스템을 쉽게 좋다고 말하긴 어렵습니다.
그래도 실생활에서 잠깐 시간을 내 확인해본 구조들은 아직은...싶어
그들의 시위가 잘 되기를 바랄 뿐이네요. 택배나 다른 노조들의 파업에
비해 비난만 주인 것 같아서...
다른 곳은 몰라도 지하철은 그래도 잘 연결되면 좋겠습니다.
드디어 처음으로 만난 둘의 짤로 마무리~

덧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