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 ▷▶묘골마을 요약보기전체보기목록닫기
- [묘골마을] 도곡재(2)2008.03.13
- [묘골마을] 태고정(0)2008.03.13
- [묘골마을] 육신사(0)2008.03.13
1
- ▷▶묘골마을
- 2008/03/13 15:11
도곡재1788년(정조2) 대사성을 지낸 박문현이 살림집으로 건립하였으나, 1850년대에 인조 때의 문신인 도곡박종우의 재실로 사용하면서 그의 호를 따서 도곡재라 하였다.도곡재는 원래 정면 4칸, 측면 1칸 규모의 일반적인 남부지방 상류주택의 사랑채 형태였다. 재실(조상의 묘를 관리하기 위해 지은 집)로 사용하면서 왼쪽에 퇴칸 1칸을 달아 내고 대청을 넓...
- ▷▶묘골마을
- 2008/03/13 13:46
태고정1479년(성종10)에 사육신 중의 한 사람인 박팽년의 손자 박일산이 건립한 것이다. 원래는 종가 안에 붙어있던별당건물이었으나 임진왜란 때인 1592년(선조25)에 불타고 일부만 남아 있었다. 이를 1614년(광해군6)에 현재의모습으로 다시 지었다. 앞면 4칸, 옆면 2칸 규모의 일자형 건물로, 각각 2칸씩 대청마루와 방을 꾸몄다. 방에는부엌이 있...
- ▷▶묘골마을
- 2008/03/13 13:29
묘골마을사육신의 한사람인 박팽년의 후손들이 모여 사는 순천 박씨들의 집성촌이다. 풍수적으로 묘골의 형국을'용이 몸을 틀어 꼬리를 바라보는 형'이라고 한다.구한말까지 300여호의 집이 꽉 들어차 있었으며 광복이전까지만 해도 100여호가 있었으나 지금은 30여호만 남아 있다.육신사조선 세조 때 사육신으로 일컫는 박팽년, 성삼문, 이개, 유성원, 하위지, 유...
1
최근 덧글